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음식물 쓰레기 구분방법 알아보기

by 재무의 정석 2023. 7. 16.
반응형

우리는 살아가면서 자연스럽게 쓰레기라고 부르는 것을 만듭니다. 하지만 음식물을 먹기 위해서는 일반쓰레기가 아닌 음식물쓰레기로 분리배출해야 하는데 분류가 생각보다 헷갈린다. 오늘은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쓰레기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음식물 쓰레기란?

음식물을 생산, 유통, 가공,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농·수·동물성 폐기물과 음식물 찌꺼기를 말하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전체 폐기물 발생량의 약 2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루에 약 16,000톤에 달하는 양이라고 하며 쌀이 하루에 약 800,000포가 생산되는 것으로 비유해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

1) 환경오염

  • 에너지 손실, 온실 가스 배출
  • 수집 및 폐기 시 발생하는 악취
  • 하수 농도가 높은 수질 오염

 

 

2) 경제적 손실

  • 식량자원에서 창출되는 경제적 가치
  • 처리비용 발생(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 연간 약 8000억 원 = 서울에 월드컵경기장 3개 건설 가능)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 구분하는 방법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면 항상 음식물쓰레기일까 하는 걱정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음식물쓰레기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이해하면 더 쉽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는 가축사료로 가장 많이 쓰이기 때문에 이 음식물쓰레기를 가축사료로 쓸 수 있는지 궁금하다면 쉽게 구분이 가능합니다.

 

 

 

 

 

 

 

음식물 쓰레기로 착각할 수 있는 일반 쓰레기

1) 채소 껍질 및 뿌리

양파, 파, 마늘 등 채소류의 마른 껍질에는 가축의 소화율을 저하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2) 딱딱하고 큰 씨앗

복숭아, 살구, 감, 체리, 망고와 같은 크고 단단한 똔과류 씨앗과 파인애플, 코코넛과 같은 단단한 껍질은 일반 쓰레기로 처리해야 합니다.

 

 

3) 견과류 껍질

호두, 밤, 땅콩과 같은 견과 껍질은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4) 뼈, 내장 등

소, 돼지, 닭 등의 털, 뼈, 지방, 창자 등은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5) 어패류

조개류, 홍합류, 조개류, 전복류, 새조개류, 멍게류, 구류의 껍데기와 내장은 일반쓰레기로 배출하여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