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연후 신체변화 정리

by 재무의 정석 2023. 10. 26.
반응형

금연을 실패하게 될때마다 자신의 의지가 약한것은 아닌지 스스로를 의심하게 되곤 하는데 담배는 중독증상이 매우 심하기 때문에 당연히 끊기어려운 것이 맞습니다. 그러니 절대 포기하지마시고 지금부터 알려드리는 금연후 신체변화를 살펴보신뒤 꼭 금연에 성공하시기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금연후 신체변화 시간대별 정리

1) 30분후

흡연을 하면서 불안정했던 혈압과 맥박이 정상화되기 시작하며 원래되로 회복되기위해 가장먼저 반응을 보입니다.

 

 

2) 1시간

니코틴이 부족해지면서 다시 담배를 피우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게되며 혈관이 예전보다 더 확장되어 산소량도 증가하게 됩니다.

 

 

3) 8시간

이때 혈액 속의 일산화탄소는 절반으로 줄어들고 산소 함량은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4) 16시간

신체의 일산화탄소 수치가 크게 감소하여 심장과 뇌 기능이 향되면서 본격적으로 금단현상이 시작됩니다.

 

 

5) 1일

신체의 일산화탄소 수치가 크게 감소하여 심장마비의 위험이 크게 줄어듭니다. 이때 기침도 많이 나오게되는데 이렇게 기침을 자주 하는 것은 폐에서 유해 물질을 배출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긍정적으로 생각하셔도 좋습니다.

 

 

6) 2~3일

꽤 많은 양의 니코틴이 몸에서 배설되었으며 이로 인해 금단 증상이 점점 더 심해집니다. 그러나 미각과 후각이 돌아오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며 더불어 금단증상이 최고치를 찍었다가 다시 금단증상이 점차 사라지므로 인내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이 시기는 니코틴이 몸밖으로 배출되고 점차 폐기능이 회복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7) 2주

세포재생이 빠르게 회복되며, 기존 호흡곤란이 약 90% 정도 개선됩니다. 마찬가지로 폐 기능도 점차 회복을 시작합니다.

 

 

8) 한달

혈액 기능이 점차 좋아지고 달리거나 걸을때도 숨이 너무 가쁘지 않으며 이때 폐 기능도 30% 정도 회복이됩니다.

 

 

9) 두달

금단 증상은 약 90% 감소합니다. 하지만 술을 마시거나 파티에 참석하는 등 환경이 바뀌면 다시 흡연을 시작할 수도 있다는 점을 명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0) 1년

흡연자에 비해 심장병 위험이 절반으로 감소합니다. 특히 30세에 담배를 끊은 사람은 비흡연자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기대수명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11) 5년

구강암, 인후암, 식도암 발병 위험은 흡연자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들게 되고 뇌졸중 위험은 비흡연자와 동일한 수준으로 개선됩니다.

 

 

12) 15년

모든 신체적 능력이 정상으로 돌아온다는 보장은 없지만,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잘 먹으면 비흡연자처럼 대부분의 건강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금연을 하게되면 건강은 분명히 좋아질 수 밖에 없으며 물론 비흡연자만큼 몸이 잘 회복되지는 않을 수 있지만 확실히 더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는 것은 숨길 수 없는 사실일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