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온이 안전한 수준 이하로 떨어질 때 나타나는 증상을 저체온증 증상이라고 하며, 특히 유아나 노인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올 겨울처럼 기온이 낮아 추위를 느끼면 악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니 저체온증에 주의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저체온증 정의
정상 체온은 36.5~37.0℃를 유지하며 신체에는 더위나 추위로부터 보호하는 방어기전이 있는데, 추위에 노출되거나 외상, 갑상선 질환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저체온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체온증은 저체온증 등의 질병으로 인해 방어기전이 억제되어 신체가 정상적인 체온을 유지하지 못하고 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저체온증 기준 온도
겨드랑이나 구강의 체온은 저체온 시 심부체온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준으로 삼을 수 없습니다. 아래의 체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경도 32~35℃
- 중등도 28~32℃
- 중도 28℃
저체온증 증상
일반적으로 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지면 저체온증이라고 하는데, 체온이 떨어지면서 몸의 움직임이 둔해지기 시작하는데, 증상이 오랫동안 지속되고 떨림이 멈춘다면 몸에 이상이 있다는 있고 점점 악화되고 있다는 징후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생명이 위태로운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옷을 벗는 등의 심각한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혼돈을 일으키고 정신장애를 겪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기도 합니다.
저체온증 응급처치
가장먼저 따뜻한 곳으로 환자를 옮기고 난뒤 119에 구조요청을 합니다. 만약 옷이나 속옷이 젖은 상태라면 마른 옷으로 갈아입혀 주도록 합니다. 또한 두꺼운 담요로 몸 전체를 덮어준뒤 호흡이 멈추진 않았는지 확ㅇ니하여 멈춘 경우나 맥박이 너무 약하다면 심폐 소생술을 해주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