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겨울철 실내 적정 습도 알아보기

by 재무의 정석 2024. 1. 7.
반응형

본격적인 겨울에 접어들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겨울철 실내 습도 조절이 얼마나 중요한지, 겨울철 실내 습도 조절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철 실내 습도조절 중요성

먼저, 겨울에는 독감 예방을 위해 실내 습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독감이 퍼지는 방식은 간단합니다. 실내의 상대 습도가 너무 낮으면 공기 중의 수분에 포함된 박테리아 덩어리가 공기를 통해 자유롭게 퍼집니다. 이는 다양한 종류의 박테리아, 알레르겐 및 기타 심각한 감염성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는 세균들의 서식지로 변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실내 적정 습도

40~60%의 적절한 습도 수준을 유지하면 각종 바이러스들이 더 빨리 가라앉는 데 도움이 됩니다. 독감 시즌 동안 습도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실내 박테리아의 존재가 증가할 수 있으며 그래서 난방을 켜고 창문을 닫고 몇 달 동안 추위에 웅크리고 있을 준비를 하면 실내 공기로 유입되는 수분의 양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이로 인해 가려움증과 불편함, 호흡 문제, 눈과 입의 건조함, 집중력 문제, 먼지 입자 증가, 정전기 방전 위험 증가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겨울철 실내 습도조절 방법

겨울의 최적습도는 40~60%라고 합니다. 항상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을 조합하여 습도를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먼저,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젖은 빨래를 실내에 걸어두거나, 샤워나 목욕 후 화장실 문을 열어 두는 등 욕실 내 습기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아주 즉각적인 효과를 주는 방법들인데, 가습기는 말할 것도 없을 만큼 너무나 당연하고, 빨래를 널어놓는 것은 아주 아주 빠르게 방의 습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특히, 잠자리에 들기 전 수건 3장을 적셔 펼쳐 놓으면 건조함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습기 관리가 어렵다거나, 세탁용 섬유유연제가 몸에 좋지 않다고 느끼실 수도 있으니,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고 가습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처럼 보일 수 있지만, 가습기를 설치한 후에는 필터를 철저히 청소해야 합니다. 가습기 필터는 매일 청소하는 것을 권장하지만, 이것이 어려우면 일주일에 3번 이상 청소해 주세요. 또한, 세균을 예방하기 위해 소독제를 사용한다면 각별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연적으로 식물을 놓아서 환경의 습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식물은 증산 과정을 통해 식물 내부의 수분을 증발시켜 수분을 잎 뒷면으로 보냅니다. 이 기간 동안 식물 밖으로 나오는 수분은 식물 내부에서 정화된 순수한 물입니다. 가습기 관리가 어려우신 분들은 자연적으로 습도를 조절하고 공기를 정화하는 식물을 설치하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집 전체 면적의 2%에만 식물을 심더라도 겨울 습도는 최대 10%까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야자나무, 이음나무, 네프롤레피스 등은 습도 조절이 잘 되어 가정 재배에 적합하다고 합니다.

 

가습기, 숯, 식물이 없다면 쉽게 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그냥 물을 끓이는 것뿐입니다. 특히 정수기가 없는 집에서는 이 방법을 추천합니다. 주전자에 물을 붓고 옥수수차, 보리차 등 다양한 차와 함께 끓이는 것이 건강에도 좋고 실내 습도도 효과적으로 조절해 주기 때문에 습도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