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포스팅은 일산화탄소 중독 증상과 응급처치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산화탄소 중독이란?
1980년대와 1990년대까지는 가정에서 연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일산화탄소 중독은 매우 흔한 응급상황이었으며, 기술이 발전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연탄 사용이 크게 감소하여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사고도 많이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일산화탄소 중독사고는 여전히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생명에 위협이 될 정도로 심각한 응급상황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일산화탄소는 밀폐된 공간에서 불완전 연소되어 발생하여 중독을 초래합니다.
일산화탄소 중독 원인 및 증상
우리가 일산화탄소를 흡입하면 체내의 일산화탄소 결합 헤모글로빈이 계속 증가해 산소포화도가 낮아지고, 신체의 이산화탄소 대사가 일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을 방해해 세포 손상을 일으키고 추가적인 부작용을 일으키게 됩니다.중독 초기에는 구토, 통증, 현기증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며, 체내 일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호흡곤란, 의식상실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산화탄소 중독 증상은 감기 등 생활습관병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이므로 진단이 거의 불가능할 경우가 많습니다.
일산화탄소 중독 응급처치
1) 환기 시키기
일산화탄소 누출이나 중독이 의심되는 경우 첫 번째 단계는 환기입니다. 일산화탄소의 추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주변을 확인하고, 타는 물체가 있는 경우에는 연소를 중지하여 화재를 예방하도록 합니다.
2) 실외 대피
최대한 빨리 실내를 환기시키고 밖으로 대피하세요. 외부에서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면 가벼운 두통과 현기증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지만 신선한 공기를 들이마신 후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빨리 응급실로 가야합니다.
3) 심폐소생술 실시
의식이 없는 경우 기도를 확보하고, 의식이 없고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여 응급처치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