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피는 주로 외부충격이나 코의 자극, 코점막의 매우 건조한 경우, 코를 후비거나 코를 너무 세게 풀 때 발생하는 코피로 인해 코 안의 혈관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여 파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극을 견디지 못하는 증상은 다양한 질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피로가 누적되거나 충혈, 점막이 터지는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강한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오늘은 갑자기 코피가 나는 원인과 멈추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코피 나는 이유
1) 건조함
특히 겨울에는 춥고 난방을 하면 건조해지기 때문에 흔히 발생하며, 공기의 습도가 떨어져서 건조해지면 코점막도 건조해져 코피가 나게 됩니다. 건조함을 줄이기 위해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젖은 수건을 실내 곳곳에 걸어두어 습도를 높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코 파는 습관
코를 너무 세게 풀거나 손으로 코를 풀면 점막이 약해지고 혈관이 약해져서 갑자기 코피가 날 수 있습니다.
3) 약한 혈관
아이들은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고 혈관 재생 속도가 따라가지 못해 가벼운 충격에도 혈관벽이 약해지고 출혈이 빨리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 아기들의 자연스러운 성장과정이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코피가 너무 많이 난다면 병원에 가보는 것이 좋습니다.
4) 약물 복용
아스피린, 와파린 등 혈액희석제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 갑자기 코피가 나거나 멈추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전문의와 상담하여 약을 계속 복용해도 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5) 각종 질환
대표적인 예가 고혈압입니다. 고혈압은 고혈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이며 물론 코 혈관의 혈압이 높으면 코피가 자주 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백혈병, 혈우병, 혈소판감소증 등의 질병으로 인해 갑자기 코피가 나는 경우가 있는데, 지혈만으로는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병원에 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6) 알레르기
알레르기가 심하면 콧속 점막에 염증이 생겨 콧물, 재채기 등이 생기고, 이로 인해 코를 자주 풀거나 만지게 되어 혈관을 자극하고 약화시켜 코피가 나기 쉽습니다. 이 질환의 치료제로 자주 사용되지만 너무 많은 양을 뿌리면 자극적이며 내부에 뿌리거나 여전히 자극이 있을 경우 갑작스러운 코피는 물론 비중격 천공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코피 빠르게 멈추는 방법
코피가 나면 당황하지 말고 고개를 살짝 숙인 뒤 입으로 숨을 쉬어보자. 코피가 목으로 흘러내리는 경우가 많지만, 이 경우 삼키기보다는 뱉어내야 합니다. 혈액이 기도로 유입되어 호흡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며 고개를 살짝 숙인 후 티슈나 화장솜을 말아 올려 코를 막거나 코에 넣어 출혈을 멈춘 후 손가락으로 양쪽 콧구멍을 가볍게 눌러줍니다.
5분 정도 하면 10분 정도 지나면 출혈이 멈출 수 있고 코 부위에 얼음을 대는 것도 혈류를 감소시키므로 도움이 됩니다. 만성질환으로 인해 출혈이 멈추지 않거나 장기간 막혀도 출혈이 멈추지 않는다면 병원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