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배터리 방전된 차 시동 거는 방법

by 재무의 정석 2025. 2. 20.
반응형

겨울철이 되면 자동차 배터리가 방전되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기온이 낮아지면 배터리의 성능이 급격히 떨어져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먼저 배터리 문제인지, 아니면 다른 원인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운전자들은 배터리 문제가 아니라도 바로 서비스 업체에 전화를 걸어 교체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방식은 종종 불필요한 비용이 들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된 것인지 확인하는 방법과, 긴급 출동 서비스를 기다리지 않고 스스로 시동을 거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반응형

 

 

 

 

배터리 방전된 차 증상

1) 힘 없이 돌아가는 엔진

시동을 걸 때 엔진이 돌아가는 소리가 힘없이 나는 경우입니다. 이때는 엔진이 돌려지지 않거나, 약한 소리로 '낑낑'거리며 시동이 걸리지 않는데, 이 증상은 배터리가 약해져서 전압이 부족할 때 발생합니다.

 

 

2) 엔진이 걸리는 소리

시동을 걸었을 때 아예 엔진이 돌아가는 소리조차 나지 않고, '투툭투툭'하는 소리만 들리는 경우입니다. 이는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어 차량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배터리 방전된 차 시동 거는 대처 방법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바로 서비스 차량을 호출하거나 배터리 교체를 고려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간단하게 시동을 걸어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기어를 활용하여 시동을 거는 방법으로, 많은 경우 이 방법만으로도 시동을 걸 수 있습니다.

 

  • 첫 번째로, 사이드 브레이크를 올려서 차량을 안전하게 고정시킵니다. 이 과정은 매우 중요한데, 브레이크를 풀지 않으면 차량이 움직일 수 있어 위험할 수 있습니다.
  • 두 번째로, 자동차 키를 시동이 들어가 있는 상태로 두되, 시동을 아예 끝까지 돌리지 않도록 합니다. 즉, 시동을 걸 준비가 되었을 때, 키는 ‘온(On)’ 상태에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세 번째로, 브레이크를 밟습니다. 이는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조치입니다. 시동을 걸 때 차량이 갑자기 튕겨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시도해야 합니다.
  • 네 번째로, 기어를 순서대로 이동시킵니다. 현대차 기준으로 ‘P-R-N-D-2-1’ 순서로 기어를 천천히 움직입니다. 기어를 한 번씩 차례대로 옮기고,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가면 기어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기어가 움직이면서 전기적 접촉을 돕고 배터리 회로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다섯 번째로,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시동을 겁니다. 이때, 차량의 시동이 정상적으로 걸리면, 배터리 문제로 인해 발생했던 시동 불량 상태가 해결된 것입니다.
  • 여섯 번째로, 시동이 걸리면, 바로 차량을 운행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30분 정도는 끄지 않고 운행하면서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배터리가 다시 회복되어 차량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지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만약 이 방법으로 시동이 계속 걸리지 않거나, 배터리가 자주 방전되는 상황이 반복된다면 배터리 자체가 오래되어 교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신뢰할 수 있는 배터리 업체에서 교체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겨울철 배터리 방전은 흔한 문제이지만, 조금만 신경 쓰면 스스로 시동을 걸 수 있습니다. 배터리가 방전된 것인지 확인하고, 위의 방법을 시도하여 긴급 출동 서비스 없이 시동을 걸어보세요. 만약 자주 발생하는 문제라면, 미리 배터리를 점검하고 교체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