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저축계좌는 차상위계층 청년이 매월 10만 원씩 3년간 36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근로소득 장려금 30만 원을 적립과 은행의 이자를 합하여
3년 뒤에 1,440만 원을 한 번에 돌려주게 됩니다.
계산 시 청년 내일 키움 통장, 청년희망키움 통장과
함께 엄청나게 높은 이자율로 돌려줍니다.
정부와 청년 적립금으로 모으는 적금이라고 보면 됩니다.
즉 3년간 10만 원씩 넣으면 3년 만기 시 1,44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에는 만 34세까지 였으나 이제는 만 39세로 변경되었으며
2021년 올해부터는 인원이 8,000명에서 13,400명으로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청년 저축계좌 자격 조건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나이
만 15세~ 만 39세로 근로 활동 중이면 가능합니다.
2) 근로 활동
정규직, 비정규직, 임시직, 아르바이트 모두 상관없이 지원이 가능합니다.
3) 제한 조건
3년간 근로 활동을 지속해야 하고, 통장 가입 기간 내 1개 이상의
국가공인 자격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또한 연 1회 교육으로 총 3회 이수해야 합니다.
지원 금액은 주택 구입, 임대, 본인, 자녀의 교육, 창업 자금 등 자립 자활에
필요한 용도로 사용하면 됩니다.
만약 3년간 지속적으로 근로를 하지 않고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면
계좌가 취소될 수 있음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4) 차상위계층
차상위계층은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의 청년을 의미합니다.
1인 가구의 경우 878,897원,
2인 가구의 경우 1,495,990원,
3인 가구의 경우 1,935,289원,
4인 가구는 2,374,587원 등 7인 가구까지 가입 및 유지 소득 상환 기준이
설정이 돼있습니다.
청년저축계좌 신청 기간은 매해 4월과 7월에 2번 나눠서 진행하니
신청 기간을 잘 기억하셨다가 신청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사업과는 중복 지원되지 않으니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제출 서류인 자가진단표, 사회복지 서비스, 급여제공 신청서, 근로활동 증명을
위한 소득 신고 자료, 금융 정보 제공 동의서, 개인 정보 활용 동의서,
지원 사업 신청서, 저축 동의서의 서류를 제출하면 자격 확인과 심사를 통해
대상자를 지차체에서 선별하게 됩니다.
선정 결과를 통보받게 되면 절차에 따라 진행하면 됩니다.
본인 명의 통장을 만든 뒤 자동이체를 신청하여 지속적으로 저축하면 끝입니다.
'Commend list > 1.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영수증 신청방법, 소득공제 계산방법, 현금영수증 공제율 (0) | 2021.05.10 |
---|---|
재테크 펀드 / 채권형펀드 / 주식형펀드/ 적립식펀드 (0) | 2021.04.30 |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0) | 2021.04.22 |
상가임대차보호법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0) | 2021.04.15 |
주택청약 1순위 조건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0) | 2021.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