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한두 가지쯤은 있는 식물 중에 하나인 다육식물입니다.
작은 다육이 부터 해서 사이즈 큰 다육이까지.
사실 키우기도 크게 어렵지 않고 공기정화에도 도움이 되는
식물이라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습니다.
오래오래 키우기 위해서 겨울철에는 좀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어떤 관리가 필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다육식물은 실내의 따듯한 곳에 두거나 밤에는 비닐이나 신문지를
덮어서 따듯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에는 물을 많이 주지 않고 어느 정도 말린 상태에서
다육식물들도 겨울철을 맞이 하기 때문에
겨울을 버틸 수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겨울에 다육식물에게 물을 많이 주지 않으셔도 됩니다.
12월 중순이 넘어가면 성장은 하지만 뿌리의 활동이 거의 멈춰있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다육식물들이 휴면기에
들어가는 시기입니다. 그렇기에 물을 많이 주는 행위는
다육식물에게는 좋지 않습니다.
휴면하는 시기에 고온다습으로 돌본다면 다육식물 에이 크는 것처럼 보이지만
뿌리가 썩을 수 있는 시기입니다. 그렇기 강제적인 재배는 하지 말아야 합니다.
다육 식물들의 성장온도는 최저 12도에서 최고 35도가 가장 좋은 온도입니다.
흙, 일조량, 습도와 함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의 최저온도가 일출 직전으로 건강하게 자란 다육 식물이라면
영상 5도 전후의 온도에서도 잘 적응하며 자라납니다.
하지만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다육 식물들의 경우에는 조금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최저 10-12도 정도의 온도를 유지시켜 주셔야 합니다.
어린 금호 등, 삼각주 같은 다육 식물들이 저온에 약합니다.
동지가 시작하는 12월부터는 물을 적게 주어 휴면기에 들어가도록
만들어주어야 건강한 겨울을 보낼 수 있습니다.
실내가 항시 최저 온도인 12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공간이라면
특히 1년 미만, 3cm 이하의 어린 다육 식물이라면 굳이 휴면을
시키지 않아도 됩니다. 대신 영상 12도와 적절한 물을 꼭 주셔야 합니다.
다육식물에게 12월 중순부터는 흙이 완전히 마르거나 건조한 뒤 표면의 흙만
약간 젖을 정도의 물만 공급하시면 됩니다.
물주는 시간대는 아침에 해가 뜬 오전 시간이 좋으며
해가 지기 전까지 건조할 수 있는 적은 양이면 충분합니다.
하지만 6개월 이하의 어린 다육 식물들에게는 영상 12도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며
다 자란 다육이에 비해 어느 정도의 일정량의 물이 필요합니다.
어린 다육 식물들은 수분 저장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습도를 유지하려면
적정량의 수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겨울이 지나고 휴면기에서 빨리 깨어난 다육 식물들은 보통 12월 말부터
깨어나게 됩니다. 대부분 2월 초 전후로 모든 다육 식물들이
다시 성장하게 됩니다.
새로운 성장기 시기이지만 많은 수분과 양분을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이미 휴면기에 체내에서 저장해둔 수분과 양분으로 필요한 만큼
스스로 충족시키기 때문에 이때에도 조금 적은 듯 의
수분고 양분을 공급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에는 최저 온도에 따라 물 주는 주기가 정해집니다.
최저 5도 정도를 유지하는 실내라면 한 달에 1-2회 정도 오전 중으로
물을 주는 게 좋습니다. 한번 물을 줄 때에는 해가 지는 오후에
겉면의 흙이 마르는 정도의 양을 주시면 됩니다.
리톱스, 사해파, 코노피텀 같은 다 육식 물을 은 겨울철에도
성장하는 다육 식물들로 물을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최저 기온이 0도 이하인 경우나 실외라면
겨울에는 물을 주지 않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오베사, 오채각, 춘봉, 꽃기린 같은 다육 식물들은 최저 온도 15도
이하라면 다음 해 봄까지는 물을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의 다육 식물들은 습도에 약한 식물들입니다.
저온 다습이나 고온다습의 두 경우 다 좋지 않은 환경으로
습도 관리에 유의하시는 게 좋습니다.
다육 식물에게도 바람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겨울철의 찬바람은 흙 온도에 영향을 주게 되기 때문입니다.
새벽의 차가운 온도와 습도에 의해 다육 식물들의 뿌리가
동상이 되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2월 말부터 2월 초까지는 햇빛이 잘 드는 오전 중으로
30분 내외의 환기가 가장 좋습니다.
찬바람이 직접 다육 식물에게 닿지 않게 낮은 쪽은 막고
높은 쪽은 열어주시는 게 좋습니다.
'Commend list > 3.반려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기 정화식물인 아레카야자. (0) | 2021.02.03 |
---|---|
다양한 허브 키우는 방법 (0) | 2021.01.28 |
미니 장미 가꾸는 방법. (0) | 2021.01.25 |
다양한 의미의 연꽃. (0) | 2021.01.23 |
초보자가 키우기 쉬운 선인장. (0) | 2021.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