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end list/1.금융정보

보이스 피싱을 당한 뒤에 해야하는 일.

by 재무의 정석 2021. 2. 1.
반응형


요즘의 보이스피싱은 단순하게 전화로만 오지 않고 문자나 카카오톡,
은행에서의 팝업창 등등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생각지도 못한 돈이 생겼다면 알지 못하는 문자의 링크를 눌러본다던가
보험금을 돌려주겠다며 오는 전화들, 심하게는 가족의 안전까지
협박하는 전화 등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은 보이스피싱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겠습니다.

 

 



- 보이스피싱이라고 생각되는 순간

갑작스럽게 전화로 보이스 피싱을 당했을 때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당황한 상태로 대처법을 모릅니다. 안다고 해도 바로바로 행동에 
옮기기에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전화로 당했다는 사실을 아는 순간
대응법을 미리 알아두시고 부모님, 지인들에게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이스피싱의 전화를 받기 전까지 전화가 온다해도 그걸 누가 속냐며
코웃음 치는 사람도 있지만 막상 보면 당하는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그 이유는 보이스피싱을 하는 사람들도 계획을 치밀하게 구상하여
사기를 치기 때문에 그 덫을 피하는것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보이스피싱에 당했다고 생각이 들면 바로 해당
금융회사 콜센터나 112에 긴급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특히 보이스피싱에 속아 돈을 입금하거나 인출당하게 된
상황일수록 더욱 빠르게 신고를 하는 게 중요합니다.
신고 후에 가장 중요한 것은 ‘계좌 지급정지’지를 꼭 
신청한다고 말씀하셔야 합니다. 입금과 출금이 된 상태에는
이 부분을 신청하셔야 더 이상 돈이 빠져나가지 않습니다.


- 보이스피싱의 피해

전화 보이스피싱 말고 계좌로 해킹을 당한 경우라면 보통은
문자로 어플을 깔거나 링크가 걸린 문자를 눌러본다던가 
잘 모로는 어플을 깔거나 고액 알바라는 말에 속아 개인정보를
알려주는 경우 등의 여러한 종류가 있습니다.
이런 계좌해킹은 사실 한번 걸리게 되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통장이 여기저기에서 보이스 피싱에 사용되고 있을 수 있어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전화로만 피해를 받는 것이 아니라 내가 모르는 사이에
보이스 피싱에 가담하여 가해자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으시면 안 됩니다. 그러니 함부로 각 종 링크나 어플, 
개인정보를 절대로 알려주시는 행위는 하시면 안 됩니다.

 

 


- 보이스피싱의 처벌 수위

스마트폰이 많이들 쓰기 전에는 전화로 보이스 피싱을 많이 
당했었는데 요즘은 전화 대신 문자나 카카오톡을 통한
좀 더 쉬운 보이스피싱의 범죄들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수법이 워낙 다양해지고 범죄의 깊이가 깊어지고 있어
금전적으로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전화로 보이스피싱을 하는 경우 이 부분도 죄에 인정이 됩니다.
징역(1년-4년 이하)에 달하는 처벌을 받게 됩니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이러한 보이스피싱에 연루되었을 경우에도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억울한 상황이 생긴다면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증거들이 필요합니다.


​- 보이스피싱의 피해를 당한 후

보이스피싱을 당한 뒤라면 
금융감독원의 특별법에 따라 환급제도를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신청소를 작성하고 채권 소멸 개시 공고, 지급정지,
환급액 결정 등의 과정을 거쳐 피해금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과정 중에 채권 소멸 개시는 공고 일자로부터 
8주 이내에 진행해주셔야 하며 이때 사기를 당한 계좌의 
명의자는 이의를 제기할 수 있게 됩니다.
실제로 죄가 있는데도 처벌이 무서워 잘못된 구제 신청을 한
경우에는 징역 3년 이하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내셔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