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end list/1.금융정보

곱버스, 인버스, 레버리지, ETF

by 재무의 정석 2021. 8. 28.
반응형

아마 주식투자를 하시는 분이라면 곱버스인버스라는 단어를 많이 보셨을 것입니다. 

작년까지는 지수에 베팅하는 ETF 투자가 주를 이뤘지만 

올해부터는 해외테마형 ETF 대세라고 합니다. 해외 테마형 ETF라는 것은

'전기차', '수소', '2 전지' 특정 테마에 얽힌 기업들을 모아놓은  ETF 말한다. 

 

이번 시간에는 곱버스, 인버스,레버리지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ETF 뜻

 

ETF 설명하기에 앞서 ETF 펀드의 일종이기 때문에 펀드를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펀드란, 투자전문기관이 일반인들로부터 돈을 모아 증권투자를 하고 여기서 

올린 수익을 다시 투자자에게 나눠주는 것입니다. 

펀드는 크게 액티브펀드와 패시브펀드로 나눌 있는데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액티프펀드는 펀드매니저가 운용하는 

펀드이고 패시브는 시장지수를 추종하는 펀드입니다

 

액티브펀드(Active Fund) 시장지수 이상의 수익을 추구하여 

높은 기대수익률이 장점이나 펀드매니저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패시브펀드보다 수수료가 비쌉니다.

패시브펀드(Passive Fund) 시장지수만큼의 수익을 추구하고

낮은 투자비용이 장점임. 대표적으로 인덱스펀드가 있습니다.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패시브펀드인 인덱스펀드로 

분류되지만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어 개별주식처럼 주식계좌를 

통해 거래할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펀드와 비교했을때 ETF 장점은 장중 거래가 가능해서 내가 원하는 가격으로 

매수/매도할 있다는 , 환금성이 좋다는 , 거래수수료가 낮다는 , 

PDF공시로 거래종목을 공개하므로 투명성이 높다는 등이 있습니다

 

 

 

 

@ 레버리지

 

레버리지는 '지렛대'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지렛대는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릴 쓰는 도구입니다. 

금융에서 레버리지란 내가 가진 자금에서 추가로 자금을 빌려 투자함으로써 

원래 가진 자금 이상의 투자 수익을 올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네이버 증권에서 ETF종목을 보면  KODEX200 있고 KODEX 레버리지가 있습니다.

상품설명을 보면 KODEX200 KOSPI200 지수를 추종하며 

KODEX레버리지는 KOSPI200 지수의 양의 2배수로 추종한다고 나와있습니다.

 

말그대로 레버리지는 코스피200지수가 상승하면 2배의 수익을 얻고 

하락하면 2배의 손실을 얻게 된다는 것인데 이런 이유로 해당 상품은 

고위험, 고수익 투자상품으로 분류됩니다

레버리지 투자상품의 경우 유의할 점이 습니다. 기초지수가 최초대비 상승  

등락을 반복하는 경우 레버리지 ETF 음의 누적 수익률이 나옵니다. 

이런 이유로 레버리지 투자는 보통 장기투자로는 권유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 인버스, 곱버스

 

인버스 펀드(Inverse Fund, inbus fund 아님) 주식 거래에서 

주가가 떨어질 경우 오히려 수익을 얻는 펀드를 말합니다. 

마디로 지수가 떨어지는 것에 베팅하는 펀드라고 있습니다.

 

곱버스는 인버스+레버리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KODEX레버리지 ETF KODEX200선물인버스2X (곱버스) 그래프를 

보시면 정확히 반대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있습니다.

인버스나 곱버스의 경우 시장 상황이 안좋아서 주가가 떨어질 같을  

투자하는 상품으로 위의 그래프를 보시면 작년 코로나때문에 주가가 

떨어지는 와중에 KODEX200선물인버스2X 상품은 오히려 수익률이 상승한 것을 보실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