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end list/2.반려동물

강아지 나이 계산법 및 수명

by 재무의 정석 2023. 3. 1.
반응형

강아지를 키우시는 분들이시라면 우리 강아지는 지금 쯤 몇 살일까 하는 궁금증을 자연스럽게 가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강아지의 평균 수명은 15년 전후이며 강아지가 사람의 나이로는 몇 살 쯤인지 판가름이 서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강아지 나이를 계산하는 방식은 몇 가지가 있는데 오늘은 강아지 나이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강아지 나이 계산법 및 수명

 

 

강아지 나이 계산법

1. 현재 강아지 나이에 곱하기

가장 많이들 알고 계시고 흔하게 적용하는 강아지 나이 계산법으로는 현재 우리 강아지의 나이에 7을 곱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가장 단순하고 강아지의 평균 수명과 사람의 평균 수명을 비교하였을 때 대략 7배의 차이가 나는 것에서 적용하게 된 방식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강아지가 5년을 살았다고 하면 여기에 7을 곱해 사람의 나이로는 35세 정도라고 볼 수 있다는 말이 되겠습니다. 하지만 해당방식은 정말 단순한 공식을 대입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여러 가지 차이와 변수들을 고려하면 그다지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는 방법입니다. 

 

 

반응형

 

 

2. 대형견 소형견

대형견들은 소형견들에 비해서 나이를 비교적 발리 먹고 노화 또한 빠르다고 합니다. 처음 1년 정도는 모든 강아지들이 비슷하게 나이를 먹어가지만 이후부터는 강아지의 크기나 품종에 따라서 그 속도가 매우 달라진다고 합니다. 소형견의 경우 2년 정도 살았다고 하면 24살, 3년은 29살로 볼 수 있고 이를 대형견과 비교해 보자면 2년은 24살, 3년은 31살, 7년은 59살 등으로 매우 큰 차이를 보입니다. 

 

 

 

 

3. 치아 확인

유기견을 입양하시는 분들이 요즘은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유기견을 입양하게 되면 나이를 모른 채로 데려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때는 강아지의 치아로 나이를 추정해 볼 수도 있다고 합니다. 8주가 지난 강아지는 유치를 가지고 있고 7개월 이상이 되면 영구치가 모두 생겨 깨끗하고 하얀 치아를 유지합니다. 여기에서 3~5년 정도의 시간이 더 지나면 치아가 마모된 것이 많고 치석이 쌓여있으며 5~10살 이상의 노견이라면 치아가 없거나 잇몸 질환등이 생겨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 수명

소형이나 중형견의 수명은 대략 14~17년이며 대형견은 9~13년 정도로 대형견이 수명도 짧고 노화도 빠른 편입니다. 실제로 강아지의 나이나 수명 등은 사육 환경이나 개체의 차이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알려드린 내용은 그냥 평균적인 지표로만 삼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 국가들이 강아지 수명에 대한 자료들을 제시하고 있지만 사실상 그 어느 것도 정확한 것은 없다고 합니다. 미국 수의학 협회에서 사용하는 방식에 의하면 소형견을 7살부터 노견으로 간주하고 대형견은 5~6살 때부터 노견으로 본다고 합니다. 모든 생명체에게 노화는 피할 수 없는 숙명입니다. 지금 여러분의 곁을 함께 하고 있는 사랑스러운 가족인 강아지가 생을 다할 때까지 함께 아름다운 추억을 많이 만들어 나가시기 바랍니다. 

 

 

 

 

 

미세먼지 농도 미세먼지 대응법

우리나라의 어떠한 지역을 가리지 않고 최근 들어 미세먼지는 우리를 계속해서 괴롭혀오고 있습니다. 기상청이 발표한 기준에 따르면 전국의 미세먼지 농도는 지속적으로 나빴다가 좋아졌다를

financepia.tistory.com

반응형

'Commend list > 2.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 등록방법 및 등록대상  (0) 2023.03.11
소형 강아지 종류  (0) 2023.03.09
강아지 이갈이 / 강아지 유치  (0) 2021.09.07
강아지 알파증후군  (0) 2021.09.03
고양이 사람 손 무는 원인  (0) 2021.08.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