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들은 똘똘한 눈, 살랑살랑 흔드는 꼬리, 귀여운 애교까지
정말 매력적이어서 많은 분들이 반려동물로 함께 하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이런 강아지들을 지키기 위해서 면역력이 약한 어렸을 때부터
예방 접종을 시작해야 하는데요.
건강 관리에 기본이 되는 예방 접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강아지는 태어날 때 물려받은 면역력은 생후 45일부터 약해지기 시작합니다.
생후 45일부터 4개월 전까지는 여러 가지의 백신 접종을 통해서
항체를 생성해 줘야 합니다.
하지만 정확하게 태어난 시기를 모른다면 먼저 항체 가검사를 통해
접종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이렇게 예방 접종을 한 번 한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강아지들은 사람과 달리
접종 후 평생 면역력이 유지가 되지 않아 매년 또는 항체가검사 후
추가 접종을 실시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예방 접종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종합 7종 백신
개 홍역, 전염성 감염, 아데노바이러스성 기관지염, 파보바이러스성 장염,
파라인플루엔자성 기관지염 및 렙토스피라증 등의 질병을 예방해주는
가장 중요한 예방 접종입니다.
생후 6~8주부터 예방하여 2~3주 간격으로 5회 이상 접종을 해야 하고,
매년 1회 추가 접종을 해야 합니다.
2) 코로나 장염 예방접종
코로나 바이러스성 장염은 피가 섞인 설사, 구토, 발열 및 식욕 저하 등이
특징이며, 강아지들에게 굉장히 치명적인 전염병입니다.
종합 7종 백신과 마찬가지로 생후 6~8주부터 예방하여 2~3주 간격으로
5회 이상 접종을 해야 하고, 매년 1회 추가 접종을 해야 합니다.
3) 켄넬코프 예방접종
주로 강아지들은 애견 카페, 학교 및 호텔 등 강아지들이 밀집된 곳에서
공기를 통해 쉽게 전염병에 감염이 되며 심한 마른기침을 일으키며 폐렴으로
진행되기 합니다.
이런 감염을 막기 위해서 생후 6~8주부터 예방하여 2~3주 간격으로 3회
접종을 해야 하고, 6개월마다 환절기 전에 추가 접종을 실시해야 합니다.
4) 광견병 예방접종
광견병은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포유류에게 감염되고 사망률이 100%에
한없이 가까운 무서운 질병입니다.
이 질병은 광견병에 걸린 강아지에게 물리면 타액 속에 섞여 있는
광견병 바이러스가 체내에 칩입하여 감염에 걸립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생후 3개월 이상 된 강아지에게 1회 접종한 후
6개월 후 재접종을 하고, 매년 추가 접종을 해야 합니다.
이렇게 예방접종을 실시한 후 강아지들의 컨디션은 떨어지게 되는데요.
컨디션이 떨어진 강아지들을 위해서 편히 쉬게 해 주고 목욕, 산책, 운동 등은
2~3일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예방접종 후 열, 구토, 설사, 경련 및 두드러기 등이 발생했다면
예방접종을 한 동물 병원에 즉시 방문해야 합니다.
이렇게 강아지들의 예방접종을 통해 강아지 또는 그 외의 사람이나
여타 다른 동물에게도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알아보았습니다.
예방접종시키시고 건강하고 즐거운 삶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Commend list > 2.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의 각질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1.04.24 |
---|---|
반려견의 알러지 증상과 치료방법에 대해 알려드려요. (0) | 2021.04.21 |
반려견 피부병의 종류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0) | 2021.04.16 |
반려견의 코 건강에 대해서 알려드려요. (0) | 2021.04.13 |
반려견이 몸을 떠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0) | 2021.04.11 |
댓글